국립부경대학교 | 융합인재개발학부 경찰범죄심리학전공
교육과정
과목별강의개요

교육과정

과목별강의개요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 

인간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여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사회환경 속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타인과 관계를 가지고, 사회의 문화·규범·제도 등의 규제를 받고 생활하는 인간의 경 험이나 행동에 대해 학습한다

 

● 범죄학(Criminology)

범죄학은 범죄의 원인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범죄학의 체계 및 범죄학의 연구방법, 범죄학의 경향, 범죄의 생물학적 원인, 범죄의 심리학적 원인, 범죄의 사회학적 원인, 미래의 범죄학, 범죄학의 전망 등에 대해 학습한다.

 

● 보호관찰론(Probation & Parole)

보호관찰은 사회내에서 생활하는 범죄자를 지도. 감독하고 지원함으로서 이들의 재범을 방지하고 건전한 사회인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과목이다. 주요 내용은 일반 보호관찰, 사회봉사수강명, 각종 조사제도, 전자감독 등의 집행에 관한 내용을 학습함으로서 보호관찰 현장에서의 대응능력을 함양하는 그 목적이 있다.

 

● 경찰형법총론(General Criminal Law)

죄를 범한 자를 처벌하는 법규 중에서 기본이 되는 형법에 대해 학습한다. 2학기 과정 중 첫 번째 과정으로 형법의 기본개념, 범죄의 기본개념, 위법성, 책임론, 공범론, 형벌론 등 형법 총론에 대해 지식을 학습한다.

 

● 발달심리학의이해(Introducing Developmental Psychology)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인간의 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인지발달, 사회성 발달, 도덕성 발달 등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재난관리론(Theory of Disaster Management) 

재난관리과정을 중심으로 재난완화, 재난준비, 재난대응, 재난복구에 관한 이론들을 소개하고 재난 및 재난관리의 개념, 재난의 유형, 재난의 특징, 재난관리의 단계, 재난관리체계 등을 다룰 뿐만 아니라 재난관리와 유사한 위기관리에 관한 내용도 포함하여 학습한다. 위기관리의 개념, 특징, 단계, 체계 등을 설명하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테러에 관한 기본적 내용도 다룬다.

 

● 경찰형사소송법(Criminal Procedure Law)

범죄자에 대한 시설내처우를 담당하는 교정기관 및 교정행정과 관련하여 교정의 의의, 각종 교정제도, 교정시설의 종류, 수용자의 인권, 처우의 기법, 사회내 처우와의 비교, 외국의 교정행정제도 등에 대해 학습한다.

 

● 과학수사실습(Scientific Investigation Lab)

현대 범죄수사에서 그 비중이 큰 분야인 과학수사와 관련하여, 과학수사의 의의와 중요성, 발전과정, 지도원리 및 활용분야, 과학수사기관의 소개와 과학수사에서의 과제들을 학습한다.

 

 과학수사실습(Scientific Investigation LabⅡ)

현대 범죄수사에서 그 비중이 큰 분야인 과학수사와 관련하여, 과학수사의 의의와 중요성, 발전과정, 지도원리 및 활용분야, 과학수사기관의 소개와 과학수사에서의 과제들을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 청소년상담(Juvenile Counseling) 

일반청소년을 비롯하여 부적응청소년인 보호관찰청소년 등 문제가 있는 청소년의 특성을 이해하고 사회적응능력 향상과 재비행 방지를 위한 상담기법 학습을 통하여 현장에서의  적용 능력을 기른다.


법심리학(Forensic Psychology)

법과학에 근거한 법정심리학은 재판, 사법 등에서 작용하는 심리적 분야인 목격자의 기억, 조사 및 인터뷰와 같은 법적 시스템상의 절차와 전문가 증언, 변론 자문 등에 관해 학습한다.


● 민간경비론(Introduction to Private Security)
산업사회의 등장과 더불어 그 중요성이 부각된 민간경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익자 부담원칙에 의거한 경비개념, 그리고 각종 관련법규의 소개 및 인적경비와 기계경비시스템 등의 총체적 경비시스템(total security system)을 활용한 효율적인 총체적 방범체제 구축방안 등을 다룬다.

 

● 대테러및인질협상론(Counterterrorism & Hostage Negotiations) 

테러리즘의 정의와 역사, 원인, 유형 등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외 및 국제사회의 대테러리즘 체계와 전략, 활동 및 관련 정책, 인질납치의 경우 활용되는 인질협상의 기법 등에 대해 학습한다.

● 피해자학(Victimology)
범죄의 피해를 입었거나 그 위험이 있는 사람에 대하여 생물학적·사회학적 특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기초로 범죄 발생 시 피해자의 역할과 형사사법에서의 피해자의 보호 방안 등을 학습한다.

● 탐정학(Detective science)
탐정의 역사, 역할, 자격, 외국 탐정의 연봉을 비롯하여, 우리나라에서 탐정의 도입 전망 등에 이르기까지 탐정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 교정상담(Correctional Counseling) 

교도소, 보호관찰소, 치료감호소, 소년원 등 범죄자 처우 기관의 특성을 이해하고 범죄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담기법을 학습하여 현장 적용 능력을 기른다. 

 

탐정학사례연구(Case Study of Detective Science)

탐정의 역사, 역할, 자격, 외국 탐정의 연봉을 비롯하여, 우리나라에서 탐정의 도입 전망 등에 이르기까지 탐정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과 구체적인 현장의 사례에 대해 학습한다.


경찰학개론(Introduction of Police Study)

경찰은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의 보호, 범죄의 예방·진압·수사, 교통·소방 기타 공공이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권력적 행정행위를 한다. 경찰임무수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경찰에 대한 이해를 함양시킨다.


경찰수사론(Theory of Police Criminal Investigation)

경찰의 형사사법 작용의 일환인 수사업무와 관련하여, 형사소송법상 수사의 주체와 절차 및 방법, 수사권 조정(경찰수사권 독립), 적법절차의 원칙, 피의자 신문의 방법, 증거 확보, 범죄유형별 수사 사례 등에 대해 학습한다.  


● 경찰형법총론(General Criminal Law)

죄를 범한 자를 처벌하는 법규 중에서 기본이 되는 형법에 대해 학습한다. 2학기 과정 중 첫 번째 과정으로 형법의 기본개념, 범죄의 기본개념, 위법성, 책임론, 공범론, 형벌론 등 형법 총론에 대해 지식을 학습한다. 

 

● 보호관찰론(Probation & Parole)

보호관찰은 사회내에서 생활하는 범죄자를 지도. 감독하고 지원함으로서 이들의 재범을 방지하고 건전한 사회인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과목이다. 주요 내용은 일반 보호관찰, 사회봉사수강명, 각종 조사제도, 전자감독 등의 집행에 관한 내용을 학습함으로서 보호관찰 현장에서의 대응능력을 함양하는 그 목적이 있다. 

 

● 경찰형법각론(Criminal Law)

두 학기에 걸쳐 이뤄지는 형법과정 중 두 번째 과정으로 형법 각론을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적 법익, 자유와 생명, 재산에 관한 죄, 사회적 법익, 국가적 법익 등 형법의 구체적인 쟁점들을 다룬다. 


● 청소년비행론(Juvenile delinquency)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비행의 원인과 관련한 범죄학적 이론들을 통하여 청소년 비행의 특징을 이해하고, 청소년들이 건전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방안들에 관하여 학습한다. 


● 범죄예방환경설계(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건축설계, 도시계획 등 도시환경을 범죄 방어적으로 설계하여 범죄 발생 기회를 줄여나가는 방법인 범죄예방 기법에 대한 학습


● 범죄심리학개론(Introduction of Criminal Psychology)

범죄 동기에 관한 각종 이론, 범죄자의 심리, 검사, 범죄자 행동유형에 관한 고전 및 현대이론의 사례연구, 정신분석학의 도입, 사회학습이론에서 본 공격성의 메커니즘, 비행 잠재성의 예측 등 범죄심리 분야의 전반에 걸쳐 학습한다.

 

● 성격심리학의이해(Introducing Personality Psychology) 

성격심리학의 주요 이론과 성격심리학자들의 생애와 관점이 어떻게 성격이론을 형성하게 하였으며, 이렇게 형성된 성격 이론이 어떻게 상담 이론의 발전으로 이어졌는지에 대해 학습한다.

 

● 교정학(Theory of Correction) 

범죄자에 대한 시설내처우를 담당하는 교정기관 및 교정행정과 관련하여 교정의 의의, 각종 교정제도, 교정시설의 종류, 수용자의 인권, 처우의 기법, 사회내 처우와의 비교, 외국의 교정행정제도 등에 대해 학습한다. 

 

 빅데이터기반공공안전론(Big data based Public safety theory) 

4차산업혁명 시대와 더불어 주목받고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공공 서비스와 관련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측적 방법을 통해 범죄와 사건사고, 재난 등의 위협요인으로부터 공공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이론적 체계와 방법을 학습한다.

 

● 범죄심리학연구(A Study of Criminal Psychology)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특이범죄 유형인 사이코패스, 묻지마범죄, 정신질환자 범죄    등의 발생 원인과 대처방안에 대해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 이상심리학의이해(Introducing  Abnormal Psychology)

이상 행동과 정신 장애에 대해 체계적,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로 새로운 이상 행동과 정신 장애의 발견 및 체계적인 분류와 현상학적 기술, 유병율이나 발병률 및 위험 요인 등에 대한 역학 연구, 원인 규명, 치료 및 예방 기법의 개발과 효과 연구 등에 대해 학습한다.

 

● 집단상담의실제(Practice of Group Counseling)

집단의 특성과 집단 역동의 전개 과정을 응용하여 상담을 희망하는 내담자들을 소규모 집단으로 구성하여 그들이 안고 있는 문제와 궁금증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집단상담의 기본 개념, 원리, 방법 등을 학습한다.


● 범죄자프로파일링(Criminal Profiling)
범죄수사의 한 분야인 프로파일링의 방법과 역사적 발달, 프로파일러의 자격요건, 프로파일링이 적용되는 연쇄살인, 연쇄강간, 연쇄방화, 제노포비아, 테러, 사이버범죄 등에 대한 이론과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 범죄인전자감독제도(Electronic Monitoring for Offenders)
성폭력범죄자 등 고위험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과 전자발찌 제도의 도입배경, 적용범위 및 부과절차, 운영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전자감독제도의 쟁점과 효과성 분석, 발전방안 및 보석대상자에 대한 전자감독제도 등에 대해 학습한다.

● 심리진단및평가(Psychological Test & Evaluation)
인간의 행동과 심리적 특성을 심리 검사 및 기타 방법으로 측정 및 분석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학습한다.